주니 개발 도서관

Spring boot 6

[ Spring Boot ] 트랜잭션

[ 트랜잭션 ] 트랜잭션(Transaction)이란, DB의 상태를 변화시키기 해서 수행하는 작업의 단위를 뜻한다. DB의 상태를 변화시킨다는 것은 무얼 의미하는 것일까? 간단하게 말해 SQL문을 이용하여 DB에 접근 하는 것을 의미한다. ex) CRUD ( insert, select ,update, delete ) 기능구현을 위해 DB의 상태를 변화시키는 메서드 즉, 수행되는 하나의 작업 단위가 트랜잭션 인 것이다 트랜잭션의 사용위치는 Service 클래스이다 Service 클래스에서 boardDAO와 memberDAO를 사용할 것인데 boardDAO.insert + memberDAO.update ( 작성한 글 갯수 +1 ) 두가지 로직을 사용한다고 가정해 보자 ex) 트랜잭션 { BoardDAO.in..

Spring boot 2022.11.01

[ Spring boot ] JDBCTemplate

DB를 연동하여 Spring boot에 적용시켜보자! JDBC 기본적인 순서 1. 드라이버 적재 2. 연결 3. sql문 실행 4. 해제 => 반복적인 작업들은 Spring에서 모듈화하여 제공 프로젝트를 먼저 생성한다 웹에서 사용하기때문에 Spring Web 체크 + JDBC를 검색하여 JDBC API 체크 현재사용하고있는 DB ( Mysql || Oracle 사용중 ) 이번에는 Oracle을 사용하겠습니다 Oralce만 체크하여 사용 할... 예정이였으나 ** 오라클은 최신버전이 아니여서 이용이 안되는 이슈가 있다 따로 체크는 하지않고 별도로 버전에 맞는 jar 파일을 넣어서 사용하도록 하겠습니다 사용중인 프로젝트 Libraries에 오라클관련 jar파일을 추가하여 사용! application.prop..

Spring boot 2022.10.27

[ Spring boot ] Validator ( 유효성 검사 )

[ Validator ] 사용자가 보낸 데이터( = 폼 데이터 ) 유효성 검사 이 유효성 검사는 " 두 단계 "로 진행하는 것이 보편적임 1. 클라이언트 ( 브라우저, 사용자) : JS 2. 서버 : 파라미터 값을 검증 클라이언트에서 유효성검사가 가능하지만 100% 모두 막을 순 없다 그렇기 때문에 두 단계로 서버에서도 유효성 검사를 해주는 것이 보편적이다 회사마다 유효성검사다 다르기 때문에 유지보수에 좋지않다 하지만, 스프링에서는 Validator 인터페이스를 구현해놓음 >> 개발자들이 보다 일관된 코드를 작성할 수 있게됨 Validator를 이용하기위해 한번 DTO ** , Validator, Controller 를 생성 DTO(Data Transfer Object) 란 내가 사용했던 VO의 역할을 ..

Spring boot 2022.10.26

[ Spring Boot ] 부트 웹 기초

[ Spring Boot ] 부트 웹 기초 Spring boot에서 JSP와 HTML을 사용하기 위해선 Web관련 다운로드가 필요합니다! Help - Eclipse marketplace wizard - java web 검색 다운로드하며 자연스럽게 Next 및 동의는 편하게 진행한다 HTML와 jsp 생성이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HTML은 static 폴더 내부에 생성한다 JSP를 사용하기위해서 Dependencies를 추가해 주어야 한다 ** 자동업데이트가 되지않기 때문에 직접 해줘야한다 디펜던시 추가한 이유? 1. 스프링 부트에서는 기본적으로 JSP를 지원하지 않음 2. 스프링 부트에 내장된 tomcat에는 컴파일하는 jsp 관련 엔진이 포함되지 않음 직접 넣어주어야한다 implementation 'ja..

Spring boot 2022.10.25

[ Spring boot ] 의존 주입

[ Spring Boot ] 의존 주입 이전 글을 보고 오시면 좋습니다 >> 프로젝트 생성 이후 부분입니다! https://hongjuni.tistory.com/75 [ Spring Boot ] 다운로드 및 설정 [ Spring Boot ] 설치 및 설정 기존의 빈 (Bean) 설정 XML 사용안함 >> @(어노테이션) 사용 ( 강사님이 이전프로젝트에서 부트형식으로 해주심 ) 빈 등록을 위한 설정파일 (.xml) 이 불필요해지므로 자바 hongjuni.tistory.com 일단 port 설정부터 바꿔줘야 할 것 같습니다 내장된 톰캣 서버의 기본 포트 번호는 8080 인데 오라클을 8080포트로 사용하고 있기때문에 함께 사용하면 충돌 발생 >> application.properties에서 설정 >> ser..

Spring boot 2022.10.24

[ Spring Boot ] 다운로드 및 설정

[ Spring Boot ] 설치 및 설정 기존의 빈 (Bean) 설정 XML 사용안함 >> @(어노테이션) 사용 ( 강사님이 이전프로젝트에서 부트형식으로 해주심 ) 빈 등록을 위한 설정파일 (.xml) 이 불필요해지므로 자바 코드만 보고서도 전체내용을 파악가능 라이브러리 관리 ( pom.xml ) xxx -> 그레이들 (GRADLE) 사용 그레이들 사용시 xml 대신 간단한 설정파일을 사용할 수 있게됨 외부 와스(웹서버)연결 없이 내장된 톰캣 서버 사용 가능 >> 톰캣 연동이 필요 없어짐 스프링 라이브러리 관리를 위한 자동설정 제공 ( 스프링 부트 스타터 ) 과도한 xml 설정이 필요없음 ※ 스프링 프레임 워크와 비교하여 여러 가지 장점이 있다. 1. 스프링 프레임 워크를 사용 하면 많은 XML 설정파..

Spring boot 2022.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