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SP를 이해하기 위한 기초 및 용어 정리
서버 ( Server )
서비스를 제공하는 컴퓨터
웹 호스팅을 이용하게 되면 다른 컴퓨터에서도 접속 할 수 있습니다 ( 본인은 현재 localhost로 사용 중 )
요청을 받아서 서비스를 제공하는 쪽 ( 응답 )
클라이언트 ( Client )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 컴퓨터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서비스를 이용
요청을 시도하는 쪽 ( 요청 )
( 클라이언트 = 사용자 = 브라우저 )
HTTP 명령 방식 (GET & POST)
GET 방식
URL에 정보가 노출된다 ( 보안에 불리함 )
- URL값 ? 매개변수=값&매개변수=값 으로 URL에 표현됨
R ( 데이터를 로드 ) 작업에 많이 활용됨
- SELECT -> 서버에서 정보를 가져오라고 사용하는 방법
전달할 수 있는 데이터 크기에 제한이 있다
POST 방식
URL에 정보가 노출되지 않음
요청헤더에 데이터를 넣어 전송하기 때문에,
데이터 크기에 제한이 없다
CUD(데이터를 전달) 작업에 많이 활용 ( 게시판 만들래, 게시판 삭제할래 )
-> 서버에 정보를 전달하려고 사용하는 방법
웹서비스 진행 과정
1) URL 입력
2) IP주소로 변환
3) HTML 페이지 요청 (클라이언트)
4) 3의 요청 내용을 분석 (서버 = 웹 서비스를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5) HTML 파일 전송 (서버)
6) HTML 태그를 분석하여 화면 구성 (클라이언트)
네이버를 예를 들어 설명해 보겠습니다!
1) 웹 브라우저에서 DNS 서버에 네이버(별칭) 요청
2) DNS 서버에서 응답 (naver.com)
3) 웹 브라우저에서 DNS 서버에서 응답받은 IP를 웹 서버에 요청
4) 웹 서버에서는 응답받은 내용을 분석
5) 웹 서버에서 HTML 파일을 웹 브라우저에 전송
6) 웹 브라우저에서 해당 HTML 파일을 분석하여 화면구성
'JSP' 카테고리의 다른 글
JSP 에러페이지 처리 (0) | 2022.08.02 |
---|---|
JSP 자바빈(JavaBean)이란? (0) | 2022.08.02 |
JSP 서블릿이란? (0) | 2022.08.02 |
프로그래밍 언어 JSP 란? (0) | 2022.08.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