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627 정리
for ( int = 0; i < al.size() ; i++ ){
syso ( al.get( i ) );
}
for ( Object obj : al ){
syso ( obj );
}
강사님께서
위의 for문의 조건식을 아래와 같이 표현하시는데
해당 조건식의 의미는
for ( 자료형 객체 : 사용할 배열형의 객체명 )
for ( A : B )
자료형 객체
ㅡ> 배열에 담긴 값을 담아줄수 있는 자료형 이여야 한다
사용할 배열형의 객체명
ㅡ> ArrayList 를 al 로 객체화 하여사용중이라면
해당 위치에는 al 를 적어주면 되겠다
간단하게 설명을 하자면
배열로 되어있는 B를 더이상 꺼낼 객체가 없을때 까지
차례대로 객체를 꺼내서 A에에다 넣겠다 라는 뜻이다
for ( A : B ){
syso ( A );
}라면
B라는 객체에 { 0 ,1 ,2 ,3 ,4 ,5 } 이렇게 있다면
for ( int A = 0; A < B.length; A++{
syso (B.get(A)); // B.get(A) => 위의 A역할
}
for문 안에서 이렇게 돌아가는 의미가 된다
'자바(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17) throw 와 throws 의 차이 (0) | 2022.06.28 |
---|---|
(16) 파일 입출력 (0) | 2022.06.27 |
(14) Exception(try,catch,throw) (0) | 2022.06.24 |
(13) 컬렉션 프레임워크 (ArrayList) (0) | 2022.06.23 |
(12) 인터페이스 (0) | 2022.06.22 |